본문 바로가기
공부법

단기합격생vs장수생 가르는 시험공략법(수능 100% 적용 가능)

by cleedyios 2023. 1. 27.

안녕하세요 오늘은 단기 합격생은 알고 장수생은 모르는 시험공략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보통 대부분의 제가 본 불합격생들은 우선 공부를 많이 안 해요. 공부를 덜 했으니까 떨어지거든요. 근데 가끔 가다 보면 공부를 진짜 많이 하는데 합격이 안 되는 분들 그리고 공부를 많이 하는 것 대비 합격을 하더라도 너무 오래 걸린 분들이 있어요. 


핵심은 두 가지인 거죠. 첫 번째 시험 문제가 나올 곳만 공부한다, 두 번째 시험 문제가 나올 곳 안에서 내가 아는 거는 넘기고, 내가 모르는 것만 집중적으로 공부한다. 이렇게 두 개만 하면 시험을 가장 빨리 붙을 수 있어요.
 
근데 이거를 말로 설명하니까 너무 당연한 말이라서 이런 거를 글을 쓰고 앉았냐 이런 생각이 드실 수도 있는데 실제로 보면 이것을 실천하는 사람이 되게 적어요. 공부를 많이 하는데도 떨어지는 분들은 중요한 점을 간과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나라 시험의 핵심은 합격점수만 넘으면 합격을 해요. 보통 공무원시험이 합격점수가 90점으로 점수가 좀 높긴 하지만 보통 60~70점 정도의 득점이면 웬만한 시험은 합격합니다.

그리고 또 하나 알아야하는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모든 시험은 이미 기출 된 데서 나온다. 사실 이것이 가장 핵심입니다. 물론 새롭게 기출 되는 문제도 있지만 합격을 위해서는 이미 기출 된 기출문제만 분석해도 충분합니다. 시험과목이라는 것이 하나의 학문 안에 여러 가지 대규모, 소규모 분류로 나뉘는 지식들이 있는데 10년 이상 시행된 시험의 경우 나온 문제는 어느 정도 다 나온 상태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면 여기서 다시 나올 확률이 90%고 나머지 10%는 새롭게 나오는 거예요. 

근데 공부를 많이 했는데 단기 합격이 안 되시는 분들은 불안한 마음에 전체 과목을 자꾸 봐요 10%까지 다 잡으려고 공부를 더 많이하는 거죠. 소위 말하는 양을 늘리는 게 되는 것입니다. 근데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일반적인 사람이 천재가 아니잖아요. 그래서 여기를 공부한다고 여기에 정신을 쏟다 보면 여기에 구멍이 막 생겨요. 그러니까 이제 단기 합격이랑 점점 멀어지는 거죠. 


그래서 제가 볼 때 이 기출 안에서만 공부를 하는 분이 오히려 전체를 공부하시는 분들보다 반은 성공을 한 거예요. 모두가 바라는 단기 합격에 반은 성공을 했습니다. 물론 이론만 또는 기출+이론(기본서)까지 공부해도 붙을 수 있어요. 다만 기출만 공부했을 때보다 그분은 늦게 합격할 거예요.


그러면 그 다음 단계로 기출 안에서도 같은 중요도로 공부를 해야 될까요? 아니죠. 아니죠. 문제를 한번 보니까 어느 보기는 내가 알아요, 그다음 보기도 내가 알아, 세 번째는 잘 몰라, 근데 네 번째는 조금 알고 이는 또 보니까 알아 그러면
내가 알고 있고 모르고 있고를 구분해서 모르고 있는 세번째 보기를 집중적으로 봐야 되는 거죠. 아는 건 시험장에 가서도 알아요. 출제가 될 가능성이 높은 범위 안에서 자신이 모르는 것만 집중적으로 공부량을 투입해서 기출 될 가능성이 높은 분야에서 구멍이 없도록 해서 간다. 그럼 90점을 받겠죠. 모든 과목에서 그러면 그토록 바라는 단기 합격을 하는 거죠.

제가 말씀드린 방법이 가장 빠른 단기 합격의 길이에요. 다른 방법은 없어요. 아니면 자기가 천재라서 그냥 이걸로 한 방에  외우는 방법밖에 없는데 그런분들은 이런 글을 아마 안보 시겠죠? 단기 합격의 길은 결국에 가장 출제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공부하되, 그 안에서 자신이 모르는 부분을 최대한 줄인다. 이 두 가지가 필수적으로 충족되야곘습니다.

모든 내용을 외워야 합격할 것 같아 모든 내용에 신경 쓰게 되는 그런 불안한 마음을 이겨내고 기출을 중심으로 본다. 그리고 기출 중 내가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구분해서 공부한다 이렇게 하시면 빨리 붙습니다. 확실해요. 그래서 오늘은 단기 합격생은 알고 장수생은 모르는 공부 방법의 효율 높이기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이만 마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