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아는 만큼 보인다 라는 말로 글을 시작하려고 합니다.
여러분들이 미래에 선택할 수 있는 길들을 미리 잘 확인해서 알아두시면 여러분들이 그 진로를 위해 무엇을 준비해 둬야 하는지 보이게 됩니다. 각 분야별 산업체별로 설명을 드릴 거고 공대생 여러분들이 갈 수 있는 진로에 대해서 빠르게 정리해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대기업 취업
첫 번째는 대기업입니다.
언제인지도 모르는 옛날에 금토끼라는 말이 있었습니다. 제일 잘 나가는 전공인 금속공학, 토목공학, 기계공학 이 3개를 일컫는 말이었습니다. 그 후에는 토끼전이라는 말이 있었죠. 토목공학, 기계공학, 전자전기공학 그리고 지금 취업 깡패라고 불리는 전화기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이 셋 중에서 기계과가 이 취업 깡패의 수장을 맡고 있다는 말을 들어봤을 겁니다.
하지만 현재 대기업 기준으로 취업 깡패의 수장은 전자공학입니다.
이제 중소, 중견기업을 제외하고 대기업에서의 기계공학 수요는 꽤 많이 줄었습니다. 여기에 더불어서 최근에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같은 외교적 이슈까지 많이 터지고 있죠 공대생 여러분들은 항상 뉴스를 보고 산업 관련 기사를 많이 읽고 국제 정세에 많은 관심을 가지셔야 합니다. 여러분들이 종사하는 업계의 변동이 곧 여러분 인생의 변동이 될 수가 있어요.
잘 알아보고 현명하게 진로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2. 각 산업별 대기업 대표회사
A. 반도체 산업
- 급성장은 이미 멈췄지만, 회복을 노리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ds 부문, sk하이닉스가 있습니다.
B. 디스플레이
- 예전에 우리나라가 세계 시장을 꽉 잡고 있었지만 중국의 lcd 물량 공세로 지금 많이 힘든 상황입니다. OLED도 점유율이 점점 떨어지고 있습니다. 삼성 디스플레이, LG 디스플레이가 있습니다.
C. 배터리산업
- 전기차 시장이 성장하면서 배터리 시장도 계속해서 성장 중이죠. lg화학, 삼성sdi, sk온 등이 있습니다.
D. 석유화학산업
- 대표 회사로는 LG화학, 롯데케미칼, 한화케미컬, 금호석유화학, sk이노베이션 그중에서 sk 인천석유화학이랑 sk 종합화학이 있습니다.
E. 정유산업
- 정유산업이랑 화학산업은 사실 사업의 경기가 점점 희미해지고 있죠. 정유사는 기름집이라고 통상적으로 말을 하고요 많은 공대생들의 워너비 직장입니다. 연봉이 굉장히 높고 업계가 상당히 안정적입니다. 여기 근무하시는 분들의 걱정은 급여나 회사의 미래 이런 게 아닙니다. 여수, 대산 이런 연고도 없는 오지에 근무를 하면서 어떻게 본인의 짝을 찾을지가 그분들의 최대 고민입니다. gs칼텍스, 현대오일뱅크, s오일, sk 이노베이션 그중에서 sk 에너지가 있습니다.
사실 s오일은 외국계 회사이고, 여기에 가스 회사를 좀 더 추가하면 sk 가스랑 E1이 있습니다. E1은 LS그룹 계열사입니다.
F. 전자제품, 모바일 산업
- 삼성전자 CE/IM부문이랑 lg전자가 있습니다. 모바일 부품 회사로 삼성전기와 lg 이노텍은 여러 가지 분야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스마트폰 카메라를 중점으로 합니다.
사. 완성차랑 자동차 부품 산업
- 강성 노조의 여파로 생산에 차질이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현대모비스가 있습니다.
G. 철강 산업입니다.
- 포스코랑 현대제철이 있고요 포스코는 수익성 기준으로 하면 세계 1위입니다.
H. 건설업
- 대표회사로는 삼성물산의 건설부문, 현대건설, 대우건설, gs건설, 대림산업이 있습니다. 다른 회사들도 많지만 생략하겠습니다.
I. 조선 산업과 해양플랜트 산업
- LNG선을 주로 생산하며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이 있습니다.
J. 통신사
- 5g가 되네 마네로 논란이 많은 회사들입니다.대표회사로는 skt, kt, lg유플러스가 있습니다.
skt 아주 좋죠 마케팅이랑 네트워크 빼고 다 서울에서 근무하고 연봉도 굉장히 셉니다. 근데 to가 굉장히 적고 it 쪽은 거의 석사 이상만 뽑습니다.
K. 소프트웨어 회사
- 카카오와 네이버가 있고요 사실 네이버는 아직 중견기업으로 분류가 되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얘는 중견기업은 아니어서 제가 그냥 대기업으로 분류를 했습니다. 이런 분류에 너무 신경을 쓰지 마세요.
L. SI 업계
- SI란 System integration(시스템 인테그레이션)의 약자로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시스템을 기획 개발 구축 사후 운영하는 일을 합니다. 이 회사 취업 시에 코딩의 노예가 될 수 있습니다. 삼성 sds, LG cns가 있습니다.
M. 소재 금속 산업
- 조금 안 어울릴 수도 있는데 그냥 적당히 묶었습니다. 한화첨단소재, sk 종합화학, 효성첨단소재, LS-니꼬동제련이 있습니다.
N. 제약 바이오 화장품
-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 sk바이오팜, 바이오텍, lg화학, 셀트리온 그리고 아모레 퍼시픽이 있습니다.
O. 방위산업
- 한화 시스템m 한화디펜스가 있고요 여기에 한화지상방산이 있었는데 한화 디펜스로 통합됐습니다. LIG, 넥스원, 현대로템, 현대위아가 있습니다. 사실 현대기아차와 대한항공, 여러 중공업들까지 방위산업 부문이 있지만 주력 산업이 아니라서 생략을 했습니다.
P. 식품 산업 CJ제일재당, 롯데 칠성음료, 롯데제과 이런 게 있습니다.
나머지 업계는 너무 작아서 생략하겠습니다.
3. 대기업 취업을 위해서 해야 하는 것?
대기업 취업을 위해서 무엇을 준비해 둬야 할까요?
가. 대기업 취업에서 학점은 중요하지만 아주 절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학점은 지원자의 성실함을 판단하는 근거가 될 뿐이고요 학교 생활하는 동안 다른 공부나 더 가치 있는 경험을 했다면 충분히 커버가 가능합니다. 물론 아무것도 안 하고 학점까지 낮으면 좀 힘들겠죠.
나. 두 번째 영어 점수는 보통 토익 700점 이상 토익스피킹 level 5 정도만 되면 지원하는 데 큰 무리는 없지만 이왕이면 토익 800점 토스 레벨 6까지는 받아두도록 합시다. 욕심부리면 끝도 없긴 하지만 고고 익선입니다. 높으면 높을수록 좋아요. 영어 점수는 3학년 올라갈 때 만들어두는 걸 추천드립니다. 왜냐하면 3학년 때 인턴에 지원을 해야 하니까 세 번째 자격증 문의가 많은데 사실 대기업 취업에서 크게 필요하지 않습니다.
다. 가장 좋은 자격증이라고 하면 본인 전공의 기사 자격증 정도가 되겠고요 중견기업이나 중소기업에서는 이를 아주 좋게 보겠지만 대기업에서 지원서에 기사 자격증이 적혀 있으면 이 사람 공기업 가려고 준비를 하고 있네 이렇게 생각하는 것도 상당히 많습니다. 자격증을 취득한 명확한 이유를 만들어 주세요.
라. 취업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직무 적합성과 더불어서 실무 경험입니다.
학점이나 영어 점수 자격증 같은 이런 부수적인 게 아니에요. 시즌 전에 목표는 산업군에서 인턴을 꼭 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실무 경험의 유무가 취업 성패를 좌우하는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대기업 인턴을 못하면 중소기업이라도 하시고요 그것도 없으면 스타트업에서라도 하는 게 좋습니다. 아예 안 하는 것보다 훨씬 낫습니다.
마. 전환형 인턴과 산학 장학생 그리고 수시 채용을 눈여겨보시기 바랍니다.
산학장학생이란 쉽게말해 '너 장학금도 주고, 용돈도 주고, 노트북도 줄 테니까 방학 때 우리 회사에서 조기 교육을 좀 받고 졸업하면 꼭 우리 회사에 입사를 해라'는 장학생제도입니다. 본인이 목표했던 회사라면 이보다 더 좋을 수가 없겠죠. 예를 들어서 현대자동차에서는 연구 장학생이라고 하는데 뭐 학기 중에 월 70만 원씩 주고 방학 때 프로젝트 하나 끝날 때마다 300만 원씩 주고 그리고 노트북도 지급을 하고 특별히 큰 사고를 치지 않는 이상 졸업 후에 취업이 보장됩니다. 물론 여기에 합격하기는 어렵겠죠.
너무 공채에만 매달리지 마세요. sk하이닉스에서 17년도 1학기 공채가 끝나고 2학기 공채 전까지 수시 채용을 다섯 번 했습니다. 거의 전설이었죠. 이걸 몰랐던 사람은 지원조차 못했습니다. lg 디스플레이도 17년도 여름에 수시 채용을 진행을 했고요 경쟁률은 당연히 공채보다 낮을 수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사람들이 잘 몰라서 지원을 안 하니까 학교에서 방학 중에 뜬금없이 채용 설명회에 오라고 문자가 온다면 꼭 가시기 바랍니다. 이게 뭐냐면 설명회 참석자들에게만 수시 채용 비공개 지원 공고 url을 뿌리는 것일 수 있습니다.
이런 종류 수시 채용도 있지만 대기업 전환형 인턴도 정말 좋습니다. 인턴을 하다가 정규직으로 전환되면 남들 4학년 때 취업 스트레스 받을 동안 아주 편하게 학교 다닐 수 있어서 좋고요 정규직 전환이 안 되더라도 실무 경험을 얻었으니 좋은 것입니다.
이상으로 사기업 취업에 관해 다뤄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이만 마치겠습니다.
'대학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대생들의 졸업 후 진로 (3편-공기업) (1) | 2023.01.21 |
---|---|
공대생들의 졸업 후 진로(2편 - 외국계, 중소, 중견기업, 스타트업) (1) | 2023.01.20 |
기계공학과 대학생이 방학 때 준비할 8가지 (0) | 2023.01.13 |
예비 공대생을 위한 공학용계산기 구매 팁(무조건 좋은 걸 사라) (0) | 2023.01.09 |
공대생 전공 공부할 때 소소한 팁 여섯가지 (0) | 2023.01.08 |
댓글